2022/08(35)
-
새홀리기(새호리기) 육추, 잠자리 사냥
모처럼 맑게 개인 하늘. 이른 아침 찾아간 새호리기 육추현장. 이미 이소한 후라 정신없이 날아다니는 유조들과 새끼들 입에 먹거리 대주느라 바쁜 엄빠 새호리기들. 수많은 사진 고르기도 숨이 차 순서대로 일단 올려보려합니다. ㅎㅎ 다리의 털이 붉은 오른쪽 성조가 커다란 잠자리를 사냥. 자식 입에 먹을 것 들어가는게 기쁨이라더니.. 다시 또 커다란 잠자리를 사냥. 저 잠자리는 무슨 횡액일꼬... 빨리 줘요. 배고파요~ 이녀석아~ 그렇다고 엉덩이를...ㅎ
2022.08.14 -
파랑새
꾀꼬리를 보기 위해 찾아간 곳에서 파랑새가 유조에게 먹이를 전달하고 있었습니다. 조금 멀지만 알아볼 정도는 되니 인증용으로나마 올려봅니다. ㅎ 파랑새 유조와 성조 파랑새 성조가 매미 한마리를 사냥해 왔습니다. 나뭇가지 아래 파랑새 유조 한마리 먹잇감을 보고 반응을 합니다. 배고파요~ 조금 먼 거리에서 보다보니 성조와 유조인지 아님 성조 암수의 모습인지 구별이 되지않았습니다. 그저 두마리가 함께 있는 모습인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성조가 둥지를 떠난 유조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모습이더군요. 하늘을 향해 손으로 들고 찍기가 힘들어서였는지 먹이전달 하는 모습 예닐곱장은 모두 촛점이 나가버려 휴지통으로... 아쉬움 가득입니다 ㅠㅠ 숨쉬지말고 사진 찍을껄.... 건강하게 잘 살아주길~
2022.08.13 -
높은산세줄나비와 제삼줄나비
네발나비과 네발나비아과 Neptis speyeri Staudinger, 1887 경기도, 강원도와 경상남도 일부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6~7월 연 1회 발생하는 나비 이번 나비 출사 길에는 늘 그렇듯 왕줄나비를 보는 것이 주가 되는 것이었으나 올해는 나비 탐사길의 도로 상황도 훌륭하게 바뀐 덕분에 하루 3번을 왕복할 수도 있었고 그래서인지 생각지도 못한 나비들의 등장에 카메라만 신이 났다. 지난해에는 여타 나비들이 보이지 않아 그저 밍숭 하게 헤매고 다니는 시간이 허다했던 것에 비하면 나름 나쁘지 않았던 시간들... (2022년 6월 중순)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보면 높은산세줄나비 - 학명(學名)이나 일본명(日本名)은 인명(人名)..
2022.08.13 -
은줄팔랑나비 여름형 암컷
은줄팔랑나비 여름형 암컷을 보긴 본것 같은데... 이미 산란을 한 암컷인지 얼핏봐서는 암컷인지 영 마뜩찮았던 차에 다시 그곳으로 가게 되니 이제 제대로 된 은줄팔랑나비 암컷을 찾아봐야겠습니다. 도착한 시간이 오후 5시 비가 올듯 잔뜩 흐린 날씨여서 큰 기대도 없었는데 다행히 꼬리명주나비 암,수컷 여러마리가 깨끗한 상태로 나타나고 나비를 찍는 도중 불쑥 튀어날아오른 은줄팔랑나비 암컷. 살펴보니 다행히 발생시기가 얼마 되지않은 비교적 깨끗한 암컷이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의 귀한 나비임에도 이날 여러마리의 암컷을 발견하게 되니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내년에도 이곳에는 은줄팔랑나비가 건강하게 잘 살고 있을테니까요~
2022.08.12 -
티스토리 구독, 새글 알림 설정하는 법
예전 블로그와 다르게 티스토리는 서로 친구나 이웃을 맺는 것이 아닌 구독을 하는 시스템. 그러다 보니 구독하는 티스토리의 새 글이 있어도 새 글 알림이 없고 일일이 찾아가야만 알 수 있는 조금 번거로운 것이 사실. 그 번거로움을 조금은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서브 블로그로 사용하고 있는 네이버 블로그를 이용하기로 한다. 일단 네이버 블로그가 개설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 1. 네이버 열린이웃 시스템 이용하기 2. 네이버 블로그 관리 목록에서 이웃. 그룹관리 선택 3. 열린이웃, 열린이웃(rss) 추가 선택 4. 주소입력란에서 티스토리 선택 후 5. 구독하는 티스토리 주소 입력 6. 아래 추가할 이웃 그룹 선택 7. 새글소식 전체 알림 on 선택 더 나은 방법이 있는지 알 수 없었지만 아쉽게도 티스토리처럼 ..
2022.08.11 -
긴은점표범나비와 알락그늘나비
긴은점표범나비를 만났습니다. 한낮의 태양빛이 작렬하는 시간 나비도 더위를 타는지 임도 가장자리 그늘로 숨어드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러다 낯선 방문객이 귀찮았던지 살짝 나뭇잎에 앉았다가 훌쩍 멀리 날아갑니다.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보면 긴은점표범나비 - 오래동안 은점표범나비와 혼동(混同)되던 종류(種類)인데 이 종류(種類)에는 은점표범나비에서와 같은 큰 변이(變異)를 볼 수가 없고 다만 후시이면(後翅裏面)중앙(中央)에 큰 긴은점하나가 있는 것으로 곧 구별(區別)이 된다. 은점표범나비에서 극히 흔한 흑화형(黑化型)의 자(雌)는 본종(本種)에서는 절대(絶對)로 볼 수가 없는 일이다. 라고 쓰여있다. (본문에 기재되는 석주명선생의 책 내용은 책..
2022.08.11 -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뜨거운 태양이 작렬하는 8월 그 어느 날, 현재 우리나라 일부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귀한 개체인 이름처럼 고운 모습의 나비. 202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 개정안에서 관찰종으로 신규 지정된 나비인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를 만나고 왔습니다. 다행히 발생 초기의 깨끗한 나비를 만나 사진으로 담을 수 있어 좋았던 날. 오이풀이 아닌 닭의 장풀에 앉은 모습도 생경스러웠지만 이 또한 이 나비의 선택이니 뜨거운 태양빛을 온몸에 받으며 남겨봅니다.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보면 고운점박이푸른부전 - 고운점박이란 학명(學名)과 일치(一致)할 뿐만 아니라 사실 이 종류(種類)의 반문(斑紋)들은 곱게 배열(排列)되어있다. 라고 쓰여있다. (본문에 기재되..
2022.08.10 -
담흑부전나비
올해 무심하게 지나치게 된 담흑부전나비. 얼마전 우연히 찾아간 곳에서 날개가 거의 상한 나비를 보게 되었고 온전한 나비의 모습을 보는것은 내년으로 미뤄야겠다 생각하던차 다른 나비를 보기 위해 찾아간 곳에서 비교적 양호한 상태의 담흑부전나비 암컷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이른 아침이어서일까 얌전하게 모델이 되어주어 고맙기까지 했던 나비. 쌍꼬리부전나비처럼 애벌레는 식수의 잎을 먹고 자란 후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 Mayr)에 의해 개미집으로 옮겨져 개미와 공생하며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식수는 굴참나무, 참나무(너도밤나무과) 3령 이후 개미와 공생하며 애벌레로 월동합니다.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보면 담흑부전나비..
2022.08.09 -
꽃팔랑나비 암,수
경기도, 강원도와 제주도의 한라산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7월 하순~8월 연 1회 발생하는 나비 이름처럼 예쁜 모습의 꽃팔랑나비 다른 나비를 보기 위해 찾아간 곳에서 만났습니다. 전에는 그저 작은 팔랑나비가 날아다니는 것으로 알았는데 목표종나비가 보이지않아 사방을 관찰하다보니 이제 갓 발생한 듯 뽀얀 모습의 꽃팔랑나비가 보이니 이 나비와 함께 시간을 보낼수밖에~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보면 꽃팔랑나비 - 학명(學名)과 일치(一致)한 이름이요 고산(高山)에 올라 고산식물(高山植物)의 꽃이 많이 핀 곳에서 잡을 수가 있으니 꽃에 인연(因緣) 많은 나비이다. 라고 쓰여있다. (본문에 기재되는 석주명선생의 책 내용은 책 원문을 그대로 표기하는 것..
202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