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34)
-
새홀리기(새호리기) 육추현장
며칠전 강원도 나비출사길 머리 위로 특유의 소리를 내며 날아가는 새홀리기 뒷꽁무니만 아쉽게 바라봤더랬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알게된 육추현장. 지난해 새홀리기 육추현장에서의 비극적 이야기 이후 올해 들어 처음 보게 된 새홀리기 육추현장으로 가보게 됩니다. 새홀리기 둥지 주변 눈치없는 파랑새도 찬조출현 합니다. 7월 뜨거운 햇살 아래 20여분 가까이 사람들이 모여있었고 끝자리에 삼각대를 설치하고 높은 나무 위 앉아있는 새홀리기를 조준(?) 해봅니다. 가끔 현장에서 만나는 반가운 분들과 인사도 나누고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면서도 시선은 새홀리기에서 떼놓질 못합니다. 사람들은 작은 새를 사냥해 공중에서 먹이 전달을 하는 장면을 원하고 있지만 애꿎은 매미만 사냥 해오는 새홀리기 많은 사람들의 바람대로 참새를 사냥..
2022.07.31 -
시골처녀나비
이상하리만큼 인연이 닿지 않아 모습을 보기가 어려웠던 나비. 날씨와 시기를 맞춰 찾기도 하고 알고 있는 서식지 외 산자락을 올라야 한다고 해서 ㅅ시에 있는 산을 이곳 저곳 올랐더랬다. 지난해 6월의 뜨거운 햇살에 오롯이 몸을 맡기고 그 나비 한 종을 보겠다고 산자락을 오르며 흘린 땀이 얼마나되는지... 결국 3번을 찾아갔지만 그곳에서는 만나지 못하고 이듬해인 올해 5월 좀 더 남쪽으로 내려가 지도를 열어놓고 무작정 찾아간 곳에서 드디어 만났던 내겐 좀 만나기 어려웠던 나비. 시골처녀나비였다. 저 너머 중계탑에서 찍어준 사진이 있었더랬는데... 벌겋게 달아오른 얼굴이 뵈기 싫어 인증용으로 뒷모습만 찍어달라 했지만 나비도 만나지 못한 심통에 서울로 돌아와 아마도 휴지통으로 넣어버렸나 보다 ㅎㅎ 산자락을 오르..
2022.07.30 -
소매물도의 아름다운 풍경과 청띠제비나비
소매물도를 찾아가는 길 타고 갈 배가 있는 저구항에 도착한 시간은 아침 7시가 갓 넘은 시간 저구항 주변, 짙은 안갯속의 명사해수욕장의 아침 풍경이 보입니다. 카메라를 들 기분이 나지 않아 간간히 휴대폰으로 주변을 찍어봅니다. 얼마전까지 저구항에 흐드러지게 피었을 수국이 초라한 모습으로 변해있었습니다. 매표소에 적혀있는 운항 시간표. 전날은 비바람으로 인해 결항이 되었다고 합니다. 짙은 안개에 티켓팅은 해놓은 상태이지만 막상 짐을 챙겨 배에 오르려니 갈등이 생기기시작합니다. 섬에 가서도 이런 날씨라면 헛걸음이 될까 걱정스러웠지만 딱 1분간 고민하다가 결국은 배를 타기로 합니다. 저구항을 떠나면서도 여전히 안개가 심하고 흐린 날씨 전에는 느끼지 못한 파도까지 심하게 울렁입니다. 객실보다는 트인 공간에 있는..
2022.07.29 -
다시 만난 청호반새와 물총새
청호반새가 보고 싶어 다시 찾은 곳 지난번과 같은 곳에서 만나게 되었다. 아마도 그곳이 청호반새의 놀이터가 아닐까 싶었다. 지난번 많은 분들이 삼각대를 펼쳐놓고 지루한 기다림을 하던 곳과는 정반대의 곳에서 이날은 물총새와 각자 다른 전선에 앉아 쉼을 하는 모습을 보게 되고 멀리 청호반새 유조와 함께 앉아있는 모습을 봤지만 그곳으로 향하는 길이 없으니 아쉽게 바라만 봐야 하는 상황도 생겼더랬다. 역광으로 앉은 모습이라도 담아보자... 청호반새니까 ㅎ 집으로 돌아오는길 잠시 들러본 곳에서 담아본 갈매기. 너도 새인데....ㅎ
2022.07.28 -
독수리팔랑나비
산지성의 나비로 강원도 산지에 집중하여 분포하며, 계곡 주변이나 드물게 산정에 서식한다. 주로 오후 늦게 활발하게 날아 다니는 편이긴하나 푸른큰수리팔랑나비처럼 이른 새벽부터 활동하기도 한다. 젖은 땅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끝에서 나오는 액체를 함께 먹는 습성이 있다. 개인적으로 만나면 늘 반가운 나비중 하나인 독수리팔랑나비. 자주 가던 경기도 산자락 임도길은 깨끗하게 포장이 되어버린 탓에 모습을 보기 어려울듯 하다. 강원도에서 다른 나비를 기다리던 중 오전 6시이전부터 활발하게 날아다니는 모습을 담게되었다. - 니들은 잠도 없냐...ㅠ 움찔움찔하며 x꼬에 힘을 준다 ㅎ 꽁무니에 맺혀있는 물방울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
2022.07.27 -
뾰족부전나비
한때 미접(迷蝶-길 잃은 나비)로 분류되었던 뾰족부전나비를 만났습니다. 경상남도 울산과 거제도에서 간간히 발견되었던 나비로 이제는 충청도에서도 발견이 될 정도로 어느 정도 토착화가 된 나비로 남도 여행길 행여 다른 나비가 보일까 천천히 둘러보던 긴 임도길에서 반짝하고 흰 날개가 보여 살펴보니 뾰족부전나비였습니다. 지난해 섬 여행에서 멀리서만 보았던 나비였었고 가까이에서 보고 싶은 나비이기도 했던 터라 반갑기만 했습니다. 하지만, 이 나비를 찍으면서 벌어진 해프닝. 길가 물이 축축한 석벽에 붙어있는 나비를 찍고자 풀숲에 들어섰다가 일행이 작은 땅벌들의 공격을 받았습니다.ㅎ 깜짝 놀라 가까이 다가간 제게도 벌들은 어느새 등산화와 바지 틈 사이를 비집고 들어와 옷 속의 정강이를 쏘아버렸네요. 다행인 건 그나마..
2022.07.26 -
먹그림나비
제주도와 36°이남 지역, 서해안의 태안반도와 경기도의 일부 해안 지역에 분포하며 5월 중순~6월 중순(춘형), 7월 하순~8월(하형) 연 2회 발생하는 나비이다. 올해도 다시 찾은 곳. 늘 그렇듯 사찰을 지키는 개를 위한 간식도 지참하게 되는데, 올해 마주한 개는 야외에서 생활을 한 탓인지 털 속에 진드기도 보이고 결국 함께 한 이는 보이는 대로 진드기도 떼어주고 나는 차에 비치해놓고 사용하는 진드기기피제를 개에게 뿌려준다. 이곳의 멍뭉이에게 간식을 조금씩 자주 주는 이유는 간식으로 배가 부를리 없으니 간식을 먹는 그 순간만이라도 작은 행복감이라도 느낄수 있다는 생각에 늘 간식거리를 챙겨간다. 이제 나비를 만나야 할 시간, 습기 가득한 숲속길 해발 200미터도 채 되지 않는 야트막한 산 정상 전망대에 ..
2022.07.25 -
깊은산부전나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2022년 현재 5년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을 개정하는 공청회가 지난 7월 열렸고 그 개정안이 발표되었습니다. 그중 관심사인 나비 중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된 나비 목록입니다. 붉은점모시나비 1급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2급에서 1급으로 올해 상향조정 산굴뚝나비 1급 상제나비 1급 깊은산부전나비 2급 쌍꼬리부전나비 2급 여름어리표범나비 2급 왕은점표범나비 2급 은줄팔랑나비 2급 홍줄나비 2급 신규 큰수리팔랑나비 관찰종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관찰종 봄어리표범나비 관찰종 북방점박이푸른부전나비 관찰종 산부전나비 관찰종 1급 4종, 2급 6종 관찰종 5종 입니다. 한때 멸종위기종이었다가 해제가 된 종류가 있지만 안타깝게도 잘못된 정보가 혼재하기도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
2022.07.24 -
중국황세줄나비(북방황세줄나비)와 황세줄나비
일요일은 쉬어가는 페이지로 늘 뒤로 밀리기만 하는 글을 올려봅니다. 중국황세줄나비 네발나비과 네발나비아과 강원도의 동 · 북부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6월~ 8월 연 1회 발생하는 나비. 아직까지 이 나비의 생활사는 밝혀진 것이 없다. 2021년 중국황세줄나비 중국황세줄나비~ 강원도의 동 · 북부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6월 중순에서 8월에 연 1회 발생한다. 이 나비의 생활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사진을 클릭하면 나비가 커집니다. 강원도 깊은 골짜기 임도를 blog.daum.net 황세줄나비 네발나비과 네발나비아과 도서 지방을 제외한 전국 각지에 분포하는 6~8월 연 1회 발생하는 나비 개인적으로 줄나비들에 대한 관심이 덜하니 사진도 안 찍게 되니, 다음엔 좀 더 잘 찍어봐야지...ㅎㅎ 사향..
2022.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