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나비(13)
-
왕나비, 큰흰줄표범나비
https://blog.naver.com/jeny_24/223552102587 왕나비, 큰흰줄표범나비 - 2024년 나비올해 왕나비들은 하나같이 까칠하기로 단합한 것 같습니다. 지난해에 비해 유난히 개체 수가 현저히 적게 ...blog.naver.com 사진을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2024.08.19 -
2024년 왕나비와 큰점박이푸른부전나비
https://blog.naver.com/jeny_24/223544563542 큰점박이푸른부전나비 - 2024년 나비 (feat. 왕나비)#큰점박이푸른부전나비 한반도에서는 중북부지방의 백두대간 산지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연 1회 발생하는 나...blog.naver.com 사진을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2024.08.12 -
again 왕나비
올해 왕나비 개체수가 나름 보여 마음 편히 먹고 5일 만에 다시 왕나비를 찾아갑니다. 이른 아침 출발하다 보니 졸다 깨다 헤드뱅잉을 반복하며 다다른 곳. 몇 킬로미터를 걸어야 하는 그 긴 길. 무슨 일인지 입구가 활짝 열려있었고 다시 몇 킬로미터 올라 만나는 그곳도 열려있었습니다. 며칠 전 방문에는 약 2~3 킬로가 넘는 길을 오롯이 걸어가야 했었는데.... 아마도 임도 벌초작업을 위한 차량이동 때문인 듯싶습니다. 어부지리로 시간과 체력을 벌었습니다. 야호~!!! 등골나물이 흐드러지게 핀 긴 임도를 따라 천천히 걸어 들어가니 반갑게 먼저 맞아주는 오늘의 웰컴 버터플라이, 첫 번째 나비는 왕나비 암컷입니다. 오늘 암컷 2~3마리를 본 것 같은데 햇살이 퍼지기 시작하자 산자락 그늘로 숨어들어 그나마 날아다니..
2023.08.30 -
왕나비 Parantica sita (Kollar, 1844)
등골나물 흐드러지게 핀 임도. 임도를 오르내리는 그 순간 지루할 때 즈음 우아한 날갯짓으로 날아들어 눈을 즐겁게 해 주던 왕나비. 펄럭이는 커다란 날갯짓도 없이 바람을 타고 미끄러지듯 날아듭니다. 이 모습에 반해 며칠후 다시 찾아간 건 안 비밀..ㅎㅎ 아랫날개 검은 반점이 없는 왕나비 암컷. 압도적인 숫자로 수컷이 많았지만 찍어온 사진을 살피다보니 암컷도 함께 날아다녔구나.. 싶었습니다. 2023년 강원도 왕나비
2023.08.23 -
왕나비(제주왕나비)를 만났습니다. 1
2023년 왕나비를 만났습니다. 해마다 폭염의 끝자락에서 만나게 되는 왕나비. 올해도 어김없이 화려한 모습으로 마주한 왕나비와의 즐거운 하루. 이른 시간 도착한 산자락에는 안개비가 내리는 상황. 먼 길을 달려온지라 일단 안개비를 맞으며 나비를 찾아 나선 길. 이번에도 휴대폰 앱을 확인해 보니 약 24,000 여보의 걸음을 걷게 되었고 거리로 환산하니 약 17킬로미터가 됩니다. 서울로 돌아오는 길 다리는 아팠지만 왕나비를 만나 즐거운 시간을 보낸 덕분인지 기분만큼은 하늘을 나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제주왕나비 - danaus tytia의 종명(種名)이요 속명(屬名)이다. 또 과명(科名)으로 우리조선(朝鮮)에는 1과(科)1속(屬)1종(種)이 날뿐이다. 조선(朝鮮)서는 중조선이남(朝鮮以南)에 분포(分布)되었고 ..
2023.08.15 -
왕나비(제주왕나비) 암,수컷 - 2021년산
올해 왕나비 출사 성적이 몇장의 사진밖에 찍지못함이 적잖이 아쉬워 지난해 (2021년) 운좋게도 넘치고 넘쳤던 왕나비사진을 보던 중 왕나비 암수가 한곳에서 나풀거리는 사진. 이제서야 알았다. ㅎ 그당시에는 두마리가 있는 장면이 그저 좋았더랬는데.. 하긴 현장에서는 그저 왕나비를 본 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겁고 행복했는데 암,수가 무슨 대수였을까...ㅎ 왕나비 위 - 수컷 아래 - 암컷 왕나비 수컷 - 아랫날개에 검은 점 왕나비 암컷 - 아랫날개에 검은 점이 없다.
2022.09.12 -
왕나비 Parantica sita
올해 기상이변으로 인한 잦은 비. 그 비로 인함인지 강원도 왕나비 출현지는 왕나비가 내려앉는 등골나물의 상태가 썩 좋지 않았습니다. 해마다 등골나물이 핀 상태로 왕나비의 출현을 가늠하곤 했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물봉선이 흐드러지게 피어야 왕나비를 볼 수 있더군요.) 오랜 시간 임도를 몇 차례나 왕복. 보통 임도초입에서 터닝포인트로 정한 곳까지 편도 약 2킬로미터 그 길을 왕복으로 8번이나 걸었으니 정말 그 무엇인가에 미치지않고서야..ㅠㅠ 예년보다 등골나물의 개체가 눈에 띄게 줄어들어 마땅히 왕나비들의 모습을 보기 어려웠고 긴 임도 여러구간에서 4~5마리의 왕나비만 보았을뿐... 늘 그렇듯 왕나비들이 등골나물에 앉아 흡밀을 하다가 다시 다른 곳으로 이동해 정신이 없는 그 틈을 타 사진을 찍는 것을 반복했는데..
2022.08.20 -
철원 고석정 꽃밭과 나비들
철원 고석정 꽃밭. 지나는 길에 잠시 들러 천천히 주변을 둘러보다. 눈으로만 꽃밭을 둘러보기로 했었다가 망원렌즈만 가지고 들어가다 보니 화각이 나오지 않아 궁여지책으로 몇장을 제외하고는 휴대폰으로나마 사진을 찍어보았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하는 고석정 꽃밭은 원래 포 사격 훈련장이 꽃밭으로 변한 곳으로 부대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유휴 부지로 남아 있던 것을 철원군이 2016년부터 꽃밭으로 조성했다. 그 넓이도 축구장 33개 넓이라고 한다. 고석정 꽃밭 근처에는 철원 9경의 하나인 고석정이 있으니 함께 찾아가도 좋을 듯하다. 2017년 철원 고석정과 한탄강 주상절리, 직탕폭포 클릭 임꺽정의 이야기가 있는 고석정과 한국의 나이아가라 폭포라고 하는 직탕폭포를 찾아가다~! 철원 여행길에 제일..
2021.09.28 -
아름다운 왕나비(제주왕나비)
왕나비 네발나비과(Nymphalidae) 왕나비아과(Danainae) 학명 Parantica sita (Kollar, 1844) 제주도에서 발생한 1화들이 태백산맥을 따라 각지로 이동한다. 이로부터 발생한 2화 개체가 7월 중순 이후에 여러 곳에서 관찰되며 애벌레로 월동한다. 지난해 못 보았던 아쉬움을 달래주는 듯 올해는 주연이 아닌 조연으로도 그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는 왕나비. (2021. 08. 강원) 한 마리도 보기 어려운 나비가 하나의 등골나물에 두 마리가 매달려있는 진풍경까지.. 나중에 알고보니 암,수가 함께 매달린 모습이었다. 위: 수컷, 아래: 암컷 이 광경을 보면서 올해 나비 시즌 출사가 나름 성공적이었다고, 그리 나쁘지는 않았으니 서울로 돌아와서는 소박한 자축파티~! 등골나물에서 흡..
2021.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