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나비(8)
-
왕나비(제주왕나비) 암,수컷 - 2021년산
올해 왕나비 출사 성적이 몇장의 사진밖에 찍지못함이 적잖이 아쉬워 지난해 (2021년) 운좋게도 넘치고 넘쳤던 왕나비사진을 보던 중 왕나비 암수가 한곳에서 나풀거리는 사진. 이제서야 알았다. ㅎ 그당시에는 두마리가 있는 장면이 그저 좋았더랬는데.. 하긴 현장에서는 그저 왕나비를 본 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겁고 행복했는데 암,수가 무슨 대수였을까...ㅎ 왕나비 위 - 수컷 아래 - 암컷 왕나비 수컷 - 아랫날개에 검은 점 왕나비 암컷 - 아랫날개에 검은 점이 없다.
2022.09.12 -
왕나비 Parantica sita
올해 기상이변으로 인한 잦은 비. 그 비로 인함인지 강원도 왕나비 출현지는 왕나비가 내려앉는 등골나물의 상태가 썩 좋지 않았습니다. 해마다 등골나물이 핀 상태로 왕나비의 출현을 가늠하곤 했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물봉선이 흐드러지게 피어야 왕나비를 볼 수 있더군요.) 오랜 시간 임도를 몇 차례나 왕복. 보통 임도초입에서 터닝포인트로 정한 곳까지 편도 약 2킬로미터 그 길을 왕복으로 8번이나 걸었으니 정말 그 무엇인가에 미치지않고서야..ㅠㅠ 예년보다 등골나물의 개체가 눈에 띄게 줄어들어 마땅히 왕나비들의 모습을 보기 어려웠고 긴 임도 여러구간에서 4~5마리의 왕나비만 보았을뿐... 늘 그렇듯 왕나비들이 등골나물에 앉아 흡밀을 하다가 다시 다른 곳으로 이동해 정신이 없는 그 틈을 타 사진을 찍는 것을 반복했는데..
2022.08.20 -
철원 고석정 꽃밭과 나비들
철원 고석정 꽃밭. 지나는 길에 잠시 들러 천천히 주변을 둘러보다. 눈으로만 꽃밭을 둘러보기로 했었다가 망원렌즈만 가지고 들어가다 보니 화각이 나오지 않아 궁여지책으로 몇장을 제외하고는 휴대폰으로나마 사진을 찍어보았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하는 고석정 꽃밭은 원래 포 사격 훈련장이 꽃밭으로 변한 곳으로 부대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유휴 부지로 남아 있던 것을 철원군이 2016년부터 꽃밭으로 조성했다. 그 넓이도 축구장 33개 넓이라고 한다. 고석정 꽃밭 근처에는 철원 9경의 하나인 고석정이 있으니 함께 찾아가도 좋을 듯하다. 2017년 철원 고석정과 한탄강 주상절리, 직탕폭포 클릭 임꺽정의 이야기가 있는 고석정과 한국의 나이아가라 폭포라고 하는 직탕폭포를 찾아가다~! 철원 여행길에 제일..
2021.09.28 -
아름다운 왕나비(제주왕나비)
왕나비 네발나비과(Nymphalidae) 왕나비아과(Danainae) 학명 Parantica sita (Kollar, 1844) 제주도에서 발생한 1화들이 태백산맥을 따라 각지로 이동한다. 이로부터 발생한 2화 개체가 7월 중순 이후에 여러 곳에서 관찰되며 애벌레로 월동한다. 지난해 못 보았던 아쉬움을 달래주는 듯 올해는 주연이 아닌 조연으로도 그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는 왕나비. (2021. 08. 강원) 한 마리도 보기 어려운 나비가 하나의 등골나물에 두 마리가 매달려있는 진풍경까지.. 나중에 알고보니 암,수가 함께 매달린 모습이었다. 위: 수컷, 아래: 암컷 이 광경을 보면서 올해 나비 시즌 출사가 나름 성공적이었다고, 그리 나쁘지는 않았으니 서울로 돌아와서는 소박한 자축파티~! 등골나물에서 흡..
2021.08.30 -
올해 두번째 만남, 강원도에서 만난 왕나비
지난 7월 말 남도 여행길에 만났던 왕나비를 강원도에서 다시 만나다. 반그늘의 임도에서 갓 발생한듯한 깨끗한 개체를 만나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가까운 거리를 허락해주니 기쁨은 배가 되는 듯 하다. (2021. 08. 강원) 사진을 클릭하면 나비가 커집니다.
2021.08.11 -
낯선곳에서의 반가운 선물같았던 왕나비
2021년 이른 여름휴가기간 중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만난 왕나비. 이른 아침 섬 여행을 위해 지름길이었던 임도를 달리던 중 오전 7시를 갓 넘긴 이른 시간에 만난 왕나비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의 만남이 이토록 반가울 줄이야. 지난해에는 궂은 날씨탓에 그 모습을 보지 못해서 올해의 만남이 더욱 더 반갑기 그지 없었다. 이른 아침 어둑한 임도에서의 사진이 마음에 들지는 않았지만 올해 왕나비와의 만남을 기록삼아 남겨놓아본다. 다시 만날 왕나비를 기대하며~ (2021. 07. 거제) 사진을 클릭하면 나비가 커집니다. 석주명선생의 조선나비이름의 유래기에는 왕나비에 대하여 Danaus tytia의 종명이요, 속명이요, 과명으로 우리 조선에는 1과 1속 1종이 날 뿐이다. 조선에서는 중부조선 이남에 분포하고 서부조선..
2021.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