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꼬리부전나비(10)
-
쌍꼬리부전나비(feat.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몇 해 전부터 쌍꼬리부전나비 짝짓기를 보고 싶었던 계획을 지난해에 이루고 나니 올해는 쌍꼬리부전나비에 대한 갈증이 덜하게 되고 올해는 그저 만나지는 대로 담아볼 생각. 그러다 보니 이미 발생시기가 오래된 낡은 개체들이 보이는 상황. 그나마 깨끗한 개체들은 멀리서 점유행동하기 바쁘고... 다시 이른 아침 찾아간 곳. 해가 뜨기 시작하면서부터 또다시 땀샘이 터졌다. 흐르는 땀이 이마를 지나 턱끝에서 후드득 떨어지고 땀을 닦으며 풀밭을 헤매고 다니다가 야트막한 나뭇잎 위로 무언가 툭~!!! 떨어진다. 쌍꼬리부전나비였다. 저녁 무렵 활발한 점유행동을 하는 쌍꼬리부전나비가 이른 아침에는 꽤나 얌전한 모습이었다. 멀리 날아가지않고 주변의 야트막한 풀잎위로 번갈아 앉아주니 이쁜애가 이쁜짓을 한다 ㅎㅎ 그래서 조금 힘..
2023.06.23 -
쌍꼬리부전나비 암컷~!
쌍꼬리부전나비 Spindasis tatanonis (Matsumura, 1906) 6월 초, 발생한지 얼마 되지않은 듯한 나비를 만났다. 아마도 오늘 세상구경을 막 시작한듯 너무나 깨끗한 나비. 그것도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의 쌍꼬리부전나비다. 암컷으로 보여 잠시 흥분했었는데, 몇컷 찍혀주더니 날아가버렸다..... 며칠후 다행히 쌍꼬리부전나비의 짝짓기를 만나게 되고 짝짓기를 마친 쌍꼬리부전나비 암컷은 힘든 거사(?)를 치른 후 영양분 섭취를 위해서인지 개망초꽃에서 흡밀을 하기 시작한다. 올해는 여러곳에서 쌍꼬리부전나비를 만날 수 있어서 행복했었다. 부디 내년에도 많은 개체들을 볼 수 있기를~ 수컷과 다르게 암컷의 날개 윗면은 푸른빛이 없이 흑갈색이다. 조선나비이름의 유래기 쌍꼬리부전나비 쌍꼬리부전나비 부전..
2022.07.14 -
쌍꼬리부전나비 짝짓기
2년에 걸친 희망사항. 올해 2022년 6월 19일에 드디어 완성했습니다. 지난해 쌍꼬리부전나비 짝짓기를 보겠다며 시간이 될때마다 나비 서식지 수차례 방문했고 마지막에 결국 피곤함을 핑계로 찾지않았던 그날. 쌍꼬리부전나비 짝짓기를 봤다는 일행의 전화에 망연자실. 결국 이건 내 몫이 아니었다며 애써 착잡한 마음을 달랬던 시간. 2년전에도 블친님은 제게 나비 짝짓기 사진을 보여달라 하셨고 나는 못 찍었다하니 일행과 절교하라는 농도 하셨더랬습니다. ㅎ 나비 애호가들 사이에서도 쌍꼬리부전나비 짝짓기 장면은 몇사람 찍지 못한 나름 귀한 장면이기도 합니다. 올해 다시 도전해보겠다며 찾아간 서식지. 흐린 날씨였지만 행여나 하며 기대를 갖고 오늘도 보지 못한다면 이대로 접어야겠다 생각하며 그곳으로 가는 길. 열심히 찾..
2022.06.27 -
쌍꼬리부전나비
부전나비과(Lycaenidae) 녹색부전나비아과(Theclinae)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의 일부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6~7월 중순 연 1회 발생하는 나비인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의 쌍꼬리부전나비를 만났습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얼마전까지만해도 알려진 서식지로 찾아가야만 볼 수 있는 나름 귀한 나비였는데 현재 새로운 곳에서 그 모습들이 나타나는 것으로보아 이 나비들의 서식 환경이 좋아진것인지 아니면 그동안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인지 알 수 없음이나 귀한 나비를 이곳 저곳에서 비교적 쉽게 볼 수 있는것만으로도 즐거운 소식이 아닐까 싶다. 이 나비 또한 새를 보기 위해 찾았던 전혀 생각치 못한 곳에서 발견해 얌전하게 모델이 되어준 쌍꼬리부전나비 수컷이었다. 시일이 지난 후 다시 ..
2022.06.17 -
쌍꼬리부전나비~
석주명 "조선나비이름의 유래기(1947)" 중에서.. 후시(後翅)에 쌍미(双尾)가 달린 부전나비로는 조선(朝鮮)서는 유일(唯一)의 존재(存在)이니 이 이름만으로 이 종류(種類)를 충분히 선출(選出)할수가 있을 형편이다. 개인적으로 나비계의 아이돌이라 생각하는 귀여운 모습의 쌍꼬리부전나비. 그 쌍꼬리부전나비의 짝짓기 사진을 찍겠다고 시간이 날 때마다 찾아갔지만 결국 올해 이제껏 그 어느 나비를 만나기 위해서도 이렇게까지 한 적이 없었던 숫자의 도전을 끝으로 Give up~!!! (카메라와 함께 한 스케쥴을 엑셀파일로 기록하다보니 같은 장소가 무려 양 손가락을 다 펴야할...ㅠㅠ) 일행은 한 번만 더 가면 볼 수 있을 것 같다며 다시 가볼 것을 은근 권유했지만 난 이미 틀렸어~~~ 갈 때마다 모기 기피제..
2021.06.30 -
쌍꼬리부전나비~!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의 쌍꼬리부전나비를 보다. 해마다 만나도 그 만남이 반갑기만 한 나비. 해가 질 무렵 만나 빛이 부족한 상태에서 만나 귀여운 모습을 제대로 표현하기 어려웠지만 내눈엔 여전히 귀요미~^^ (2021. 06.) 사진을 클릭하면 나비가 커집니다.
2021.06.16 -
쌍꼬리부전나비 2
지난해 만족할만큼의 사진으로 담지 못해 아쉬워했던 쌍꼬리부전나비. 늘 그렇듯 비록 암수구별없어도, 갈증은 해소할 만큼의 사진을 찍게 해줘 고마웠던 나비. 내년에도 다시 보자~
2020.07.04 -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쌍꼬리부전나비
쌍꼬리부전나비 후시(後翅)에 쌍미(双尾)가 달린 부전나비로는 조선(朝鮮)서는 유일(唯一)의 존재(存在)이니 이 이름만으로 이 종류(種類)를 충분히 선출(選出)할수가 있을 형편이다. 석주명 "조선나비이름의 유래기(1947)" 중에서..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애벌레와 공생관계에 있는 나비종류들이 몇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쌍꼬리부전나비와 담흑부전나비가 있습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쌍꼬리부전나비는 암먹부전나비, 푸른부전나비, 범부전나비와 함께 마쓰무라꼬리치레개미와 공생을 합니다. 나비에 대한 연규자료에 따르면 개미류와 함께 사회적 기생을 하는 나비는 17종에 이르며 개미는 21종이 연관되어있다고 합니다. 쌍꼬리부전나비의 애벌레는 마쓰무라꼬리치레라는 개미에 의해 애벌레가 개미집으로 운반해 ..
2020.06.23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2급 쌍꼬리부전나비
2012년 5월 31일 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2급으로 지정된 쌍꼬리부전나비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미상돌기가 2개인 멸종 위기 2급 생물로 지정된 쌍꼬리부전나비는 특이하게도 유충과 공생관계인 개미가 살고있는 나무가 있는 곳을 찾아 암컷이 알을 낳는데 애벌레가 된 유충을 개미가 개미굴로 가지고 가게 되면 나비 유충은 개미가 토한 먹이를 먹고 자라고, 개미는 유충의 배에서 나온 달콤한 즙을 얻어먹는다고 합니다. 그런 이유로 쌍꼬리부전나비는 개밋과의 한 종인 마쓰무라꼬리치레개미가 주로 살고 있는 벚나무나 소나무 등 고목, 그 일부분이 고사되어 이들이 정착한 곳에 주로 서식처를 만든다고 합니다. 석주명박사의 조선나비이름유래기에 표기된 바로는 後翅에 雙尾가 달린 부전나비로는 朝鮮서는 唯一의 存在이니 이 이름만으로..
2019.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