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10)
-
흰기러기, 캐나다기러기를 만나다.
요즘 핫플레이스인 김포평야.서둘러 출발했음에도 도착해 다른 탐조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니언제나 그렇듯이"한 시간 전에 봤는데 날아갔어요~~~"한 시간 전이면 도대체 언제 와야 함? ㅎㅎ 평야에 들어서기 전 저 멀리 검은 덩어리.카메라로 확인하니 매. 잠시 후 사냥하러 출격하는 듯건너 평야로 날아감. 한적한 마을 길 사이 농로에서 만난물때까치 아무튼 평야로 들어서기 전 저 멀리 흰 덩어리 하나 발견.지켜보고 있자니 한 다리로 서있는 모습이아슬아슬해 보이지만 너무 편안한 표정.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볼 수 있었던흰기러기.분홍색 부리와 발갈퀴가 인상적임. 이렇게 존재감 뿜뿜하면 찾기도 쉬우련만이곳에서 볼 수 있다는 캐나다기러기는 이 수많은 기러기들 사이에서 찾..
2025.01.05 -
화성 탐조 매, 말똥가리 ...
https://blog.naver.com/jeny_24/223658649172 매(Peregrine Falcon)에게 무슨 일이?이른 아침 뿌연 안개 속 잿빛개구리매가 날며 어디로 가나 싶어 눈으로 따라가다보니 무언가에게 위협을 하...blog.naver.com 사진을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2024.11.14 -
부산 태종대 전망대, 영도등대(feat. 솔개와 동박새, 바다직박구리)
아주 오래 전인 1996년에 처음 방문했던 부산 태종대. 그리고 2009년 겨울여행 중 잠시 훌쩍 찾았던 태종대를 이번에는 오직 매 사진을 찍기 위해 찾았다. 하지만 나 홀로 짝사랑했던 매와의 만남. 그 오랜 기다림 중 건너편 주전자섬과 전망대 주변을 담아보다. (2023년 6월) 태종대 전망대에서 바라본 주전자섬(생도)은 특이한 모습이었고 몇 해 전까지 그곳에서 이곳 터줏대감 매가 번식을 하던 곳이라고 했다. 올해는 둥지가 전망대 밑 바위틈 같은데 1차 번식은 실패, 2차 번식 또한 성공여부를 알 수 없다고 한다. 행여 번식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면... 또다시 수많은 삼고초려의 번뇌가 있을 듯하다.ㅎ 전망대 부근에서는 바다직박구리 유조들이 날아다녔고 이른 아침 동박새무리가 시끌시끌 놀더니 훌쩍 ..
2023.07.04 -
매의 성지, 태종대 매 공중급식을 보다
어쩌면 꿈이었을지도 모를...... 그곳에서 찍어 올려지는 수많은 사진들 중 대표적인 사진인 매의 등짝과 뒷배경의 몽글몽글한 빛망울, 이름하여 "태종대 매 보케사진" 을 직접 보기 위해 내 장비와 내 실력으로는 감히 꿈도 꾸지 못했던, 상황은 열악했지만 보고 싶다는 그 마음 하나로 (물론 현재 진행형이지만...) 얼떨결에 그곳을 다녀오다. 오래전 초당 5연사 카메라로 강릉 남대천을 다녀오던 그 무모함으로 이번에도 감히 초당 10연사의 구닥다리 카메라를 들고 ㅎ 블친님에게는 다녀오라는 뽐뿌만 넣어놓고 기회와 상황이 되지 않아 머뭇머뭇하기만 하던 내게 선뜻 먼 길을 잡아주니 고마울 따름. 하지만 내겐 부족했던 조복과 초당 11미터의 강풍으로 입 돌아갈뻔한 날씨로 카메라를 들고 서있기도 어려웠던 날. 서울은 ..
2023.06.21 -
참매, 꿩잡으러 나간다~(ft. 진안 매사냥 시연회)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매사냥 시연회에서 장환석 이수 조교가 5년생 참매를 날리고 있다. 쏜살같이 날아 아래쪽에서 다른 이수자가 날린 꿩을 향해 날아간다. 가까운 곳으로 사냥에 성공. 주변 상황에 어리둥절하더니 날개를 펴 꿩을 덮는 행동을 한다. 움직이는 꿩과 잠시 엎치락 뒤치락하더니 이내 다시 꿩을 제압한다. 절명시킨 꿩의 털을 뽑는 매. 잔인할 수도 있는 장면이지만 이 또한 자연의 일부일수 있으니 담아보기로 한다. (피가 튀는 장면은 아니니 좀 낫기도 하다. ㅎ) 12월 18일 대전 효평마루에서 또 다른행사 박용순 응사의 시연회가 있다고 한다.
2021.12.07 -
진안 매사냥시연회, 삶과 죽음 그 경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매사냥. 지난 27일 전북 진안에서 한국 민속 매사냥 보존회가 주관한 매사냥 시연회에 참석하게 되었다. 전북 무형문화재 제20호인 박정오 응사와 그 이수자들이 보여주는 매사냥 시연회에서 담은 꿩을 잡은 5년된 수지니(사람의 손으로 길들인 매) 매사진이다. 먼거리를 달려간 곳, 무형문화재 이수자들이 마련한 귀한 자리에 함께 할 수 있어서 행복했던 시간이었다. 앞으로 한동안은 이날 찍은 다양한 매사진이 자주 포스팅이 될듯 하다 ㅎㅎ 매사냥 관계자분들의 수고로움에 감사인사를 드립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매사냥(falconry)이란 훈련된 맹금류를 부려서 짐승을 잡는 사냥법이다. 이때 사용되는 맹금류로는 비단 엄밀한 의미의 매(매목 매과의 송골매류) 뿐 아니라 수리목..
2021.11.28 -
송골매
미세먼지 뿌옇던 날이지만 전신주에 앉은 모습보다 나뭇가지에 앉은 모습이 훨씬 멋진 매. 아직 어린 티가 흐르지만 그럼에도 천연기념물 제323-7호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멋지고 용맹스러운 새이다. 차 안에서 마주 보는 송골매 이제 보니 너와 눈 맞춤을 했었구나~
2021.11.21 -
가장 빠른 새 ~ 매(송골매)
멸종위기-멸종위기1급 천연기념물-제323-7호 학명 : Peregrine Falcon 기네스북에 먹이를 잡기 위해 급강하(diving) 할 때의 속력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새로 등재되어 있다. 사진을 클릭하면 매가 커집니다. 화성호 탐조하며 두서없이 이곳저곳을 헤매고 다니던 순간. 눈앞에 보이는 매 한 마리. 순간 숨이 멎는 듯했다. 첫번째 방문길에는 어느 곳으로 들어가야하는지도 모르고, 어디를 가야 이쁜 새들을 볼 수 있는지 알 수 없지만 얼떨결에 열려진 문으로 들어가 휙 둘러보고 나오는 길을 모를까 겁이 나 일단 후퇴...ㅎ 다시 일정을 잡아보기로. 집으로 돌아와 화성호 주변 지도를 열어놓고 로드뷰를 실행시키며 위치를 파악한 후 무작정 그곳으로 찾아가보니 문이 열려있었고, 입구의 CCTV가 신경쓰..
2021.09.12 -
새매
천연기념물 제323호로 지정된(1982. 11. 4) 매의 일종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한국의 텃새인 맹금인 새매는 한국 전역에서 볼 수 있는 텃새이지만 흔하지는 않은 새라고 합니다. 양평으로 홍여새를 보러 간 날 대여섯 마리만 가로등에 잠시 앉았다가 날아가는 홍여새 뒤꽁무니만 바라보며 지루하게 홍여새를 기다리다 하늘을 나는 새매를 발견하고 담아봅니다. 모두가 홍여새를 기다리는 곳이 아닌 다른 곳에서 홍여새무리와 노랑, 개똥지빠귀 무리들이 일순간 화르륵 날아가는 것을 보니 그 중간 새매가 사냥을 위해 무리 속을 날아다닙니다. 그러니 홍여새가 오질 않았나 봅니다. 어찌 되었던 홍여새를 보기 위해 찾았지만 새매의 날아가는 모습도 담아봅니다. 새매와 더불어 매도 날아다니네요~
20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