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11)
-
물매화, 병아리풀
https://blog.naver.com/jeny_24/223568545083 병아리풀, 물매화경기 및 강원 이북에서 자라는 1년생 초본. 작고 귀여운 모습이라는 의미로 병아리라고 불리는 식물들이 여...blog.naver.com 사진을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2024.09.02 -
깊은산부전나비
https://blog.naver.com/jeny_24/223505076783 깊은산부전나비 - 2024년 나비비소식이 있음에도 주말반은 달립니다. 도착한 곳의 날씨는 하늘에는 구름이 잔뜩, 한줌 빛이라도 있으면 ...blog.naver.com 사진을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2024.07.09 -
나비 찾아 떠난 곳에서 만난 8월의 꽃과 나비들~
가끔 나비를 찾아 깊은 산 임도를 오르내리다 보면 지루하기도 하고 뭔가 날아 움직이는 것에 대한 갈증도 있던 순간 눈앞에 무언가가 나타나고 무서운 존재가 아닌 다행히 자그마한 꿀벌이 열심히 일을 하는 모습을 담아봅니다. (사실 꿀벌도 쏘일 수 있으니 조심 또 조심합니다.) 다리에 붙은 화분에 하트모양이 보여 귀엽기까지 합니다. 처음 나비사진을 찍으시는 분들이 예쁜 나비라며 이름을 물어보시는, 나비로 가장 많이 오해를 하게 되는 뿔나비나방. 특유의 화려함으로 비록 나비목에 속하지만 낮에 날아다니는 나방이랍니다. 큰흰줄표범나비 흰줄표범나비와는 다르게 아랫날개 흰 선 가운데 부분이 흐릿하게 끊긴 모습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흰줄표범나비 산자락 임도에서 제일 많이 만날 수 있었던 은점표범나비 물봉선 하나가 오..
2023.08.31 -
평창 대덕사 물매화(립스틱물매화,연지물매화)
올해도 찾아가본 평창 물매화 서식지. 하지만 올해 유난히 개화가 늦어진다는 현지상황. 실제 계곡에는 꽃들이 예년보다 현저히 줄어들었고 주차장부분의 물매화는 거의 피지않았더군요. 이제 갓 올라온 봉우리는 면봉처럼 조그맣기만 합니다. 결국 립스틱물매화를 비롯한 조금 나은 상태의 꽃들을 보려면 일정금액을 지불하고서 꽃들을 만나야하거나 일주일이나 열흘정도가 지나면 계곡의 꽃들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봅니다. (2022.9월 셋째주 현재) 이곳저곳 피어있는 물매화 중 립스틱물매화로 불리는 꽃을 중점적으로 담아봅니다.
2022.09.19 -
병아리풀
해마다 가을이 시작되는 시기 찾아가는 그곳. 그곳에 어김없이 올망졸망 작디 작은 병아리풀이 발밑에 옹기종기 피어 있었다. 꽃이라고 하기엔 뭔가 애매하지만 여전히 다시 만나 반가운 꽃. 사족 : 물매화가 피는 곳에 가보니 (9월 첫째 주) 아직 성냥알만큼의 꽃몽우리가 맺힌 상황이었다. 지난해에는 이맘때 물매화를 볼 수 있었는데 아마도 추석무렵즈음이 되어야 꽃 얼굴이라도 볼 수 있을듯 하다.
2022.09.05 -
꽃팔랑나비 암,수
경기도, 강원도와 제주도의 한라산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7월 하순~8월 연 1회 발생하는 나비 이름처럼 예쁜 모습의 꽃팔랑나비 다른 나비를 보기 위해 찾아간 곳에서 만났습니다. 전에는 그저 작은 팔랑나비가 날아다니는 것으로 알았는데 목표종나비가 보이지않아 사방을 관찰하다보니 이제 갓 발생한 듯 뽀얀 모습의 꽃팔랑나비가 보이니 이 나비와 함께 시간을 보낼수밖에~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보면 꽃팔랑나비 - 학명(學名)과 일치(一致)한 이름이요 고산(高山)에 올라 고산식물(高山植物)의 꽃이 많이 핀 곳에서 잡을 수가 있으니 꽃에 인연(因緣) 많은 나비이다. 라고 쓰여있다. (본문에 기재되는 석주명선생의 책 내용은 책 원문을 그대로 표기하는 것..
2022.08.08 -
수풀알락팔랑나비의 사랑과 줄흰나비, 회령푸른부전나비
산꼬마표범나비를 기다리며 임도를 오르내리다 발견한 수풀알락팔랑나비 짝짓기. 로맨틱하게 쥐오줌풀꽃 위에 신방을 차렸다.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보면 수풀알락팔랑 - 학명(學名)과 일치(一致)한 이름이고 그 생태(生態)도 표현(表現)한 듯하다. 이 속(屬)에서는 북방알락팔랑과 2종(種)이 가장 풍산(産)하니 서로 비교(比較)가 된다. 라고 쓰여있다. (본문에 기재되는 석주명선생의 책 내용은 책 원문을 그대로 표기하는 것이며 한자는 한글로 함께 표기하였습니다.) 회령푸른부전나비 북한에는 함경북도 회령, 남한에서는 경상북도와 강원도 남부의 극히 제한된 지역에 분포, 연 1회 발생하며, 남한에서는 5월 말부..
2022.06.25 -
큰은점선표범나비
네발나비과(Nymphalidae) 네발나비아과(Nymphalinae) 5월 하순~6월 연 1회 발생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와 전라 북도 일부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나비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따르면 큰은점선표범나비- 은점선표범나비와 작은은점선표범나비에 대응한 이름으로 본종에만은 영명이 없다. 일본명의 녹성표문(綠星豹紋)은 우연히 일치된 이름이라고 하겠다. 라고 쓰여있다.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나비사진을 찍으며 작자와 연대가 밝혀지지 않은 고대 가요 "구지가" 가 떠오르던 순간. 나비 머리가 보이지않는다. 龜何龜何 거북아 거북아 首其現也 머리를 내놓아라 若不現也 만일 내놓지 않는다면 燔灼而喫也 구워서 먹으리 나비가..
2022.05.25 -
흰자주쓴풀
꽃구경에 나비포인트까지 두루 살펴보며 강원도로 다녀온 나들이 길. 왕복 400여킬로의 거리였지만 대체휴일 막힐 도로사정에 해가 뜨기 전부터 재빨리 다니다보니 서울에 도착하니 오후 3시가 갓 넘었다. ㅎㅎ 서울로 돌아오는 길, 해마다 나비를 보기 위해 가는 곳에서 나비시즌 제일 마지막으로 볼 수 있는 멧노랑나비가 혹시나 나타날까 하는 마음으로 쉬엄쉬엄 돌아보던 중 군계일학처럼 혼자만 빛나던 흰자주쓴풀을 발견했다. (잔뜩 흐렸던 날씨라 나비는 보이지않았다.) 야생화를 찍는 분들이라면 꽃자리를 알고 시기에 맞춰 찾아가는 곳들이 있지만 그저 보이는 야생화 중 맘에 드는 꽃을 찍곤 하는 내게는 그날의 감성에 따라 마음에 들어오는 꽃들을 담곤 한다. 동물이나 식물이나 개체중에 흰색이 보이면 나름 대접을 받던것이 생..
2021.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