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흑부전나비(6)
-
다시 만난 담흑부전나비
https://blog.naver.com/jeny_24/223492711336 개미와 공생하는 나비, 다시 만난 담흑부전나비 - 2024년 나비비가 내린 다음날, 운 좋으면 얌전한 나비를 만날 수 있겠다 싶었다. 6월 중순 무렵 만났던 담흑부전나비를...blog.naver.com 사진을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2024.07.01 -
담흑부전나비
https://blog.naver.com/jeny_24/223483297875 담흑부전나비 - 2024년 나비3령 애벌레가 일본 왕개미에 의해 개미집으로 옮겨져 공생하는 나비로 연 1회 발생하며 최근 점점 보기 어...blog.naver.com 사진을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2024.06.24 -
개미와 함께~!! 담흑부전나비
연 1회 발생하며, 6월 말부터 7월까지 볼 수 있는 나비로 1~2령 애벌레는 졸참나무와 떡갈나무 잎을 먹고 자라나, 3령 때 일본왕개미에 의해 개미집으로 옮겨져 공생하며, 유충의 꿀샘에서 나오는 단물을 일본왕개미가 빨아먹는다. 개미에 의해 키워지는 또 다른 나비로 쌍꼬리부전나비와 큰점박이푸른부전나비가 있다. 암수 모두 깨끗한 모습으로 만나게 되니 더욱 반가울따름~! 담흑부전나비 암컷
2023.07.10 -
담흑부전나비
올해 무심하게 지나치게 된 담흑부전나비. 얼마전 우연히 찾아간 곳에서 날개가 거의 상한 나비를 보게 되었고 온전한 나비의 모습을 보는것은 내년으로 미뤄야겠다 생각하던차 다른 나비를 보기 위해 찾아간 곳에서 비교적 양호한 상태의 담흑부전나비 암컷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이른 아침이어서일까 얌전하게 모델이 되어주어 고맙기까지 했던 나비. 쌍꼬리부전나비처럼 애벌레는 식수의 잎을 먹고 자란 후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 Mayr)에 의해 개미집으로 옮겨져 개미와 공생하며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식수는 굴참나무, 참나무(너도밤나무과) 3령 이후 개미와 공생하며 애벌레로 월동합니다.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보면 담흑부전나비..
2022.08.09 -
7월 하순 강원도 그 깊은 곳에서 만난 나비들~!
7월 마지막 주에 만난 나비들 개체수가 많아 흔하다고, 쉽게 볼 수 있다고, 만났던 적이 있다고 무심히 지나쳤던 나비들. 이번에는 어쩐지 한 번쯤 눈 맞춤을 해주고 싶었다. 비록 세월의 흔적을 직격으로 맞았다고 해도.... 줄꼬마팔랑나비 지리산 이북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6월 하순에서 8월 연 1회 발생하는 나비. 갓 발생한 듯 산뜻한 모습에 땀을 비 오듯 흘리며 숨죽이며 담아봅니다. 유난히 덩치가 커서 존재를 의심했던 산줄점팔랑나비 담흑부전나비 올해 어쩌다 보니 이 나비를 지나쳤다. 강원도 깊은 골짜기 우연히 들러본 너른 공터. 쓰다 방치해 둔 듯한 대포도 풀에 가려져있는 너무 깊은 숲 속이라 더 이상 들어가지 못하고 입구 주변에서 유난히 곱게 핀 야생화를 찍고 있는데 나풀거리며 날더니 내 앞에서..
2022.08.02 -
천마산에서 귀하다는 담흑부전나비를 만났습니다.
장마가 시작되고 많은 비가 내리면서 잠시 외부활동이 주춤해졌습니다. 그러다 밖이 보이지 않을정도로 많은 비가 내리고 난 다음날 잠시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여서 그때를 틈타 또다시 천마산으로 향했습니다. 사실 활동을 많이 하지 않는다며 은근 구박아닌 구박과 조금씩 후덕해진다는 인신공격성의 멘트에도 절대 굴하지 않았지만 비가 그친 뒤 파란 하늘에 제가 좋아하는 구름이 둥실 떠있는것을 확인하고서는 서둘러 외출 준비를 하고 카메라만 챙겨들고 천마산으로 향합니다. 얼마전 내린 비로 천마산 계곡은 물이 넘칩니다. 천마산을 꽤나 많이 찾았지만 이렇게 계곡에 수량이 넘치는 모습을 본적이 없는것 같네요. 물가운데 바위에 간신히 뿌리를 내리고 있던 커다란 나무는 이번 내린 비에 그만 뿌리채 뽑혀져 있더군요. 천마산 임도를 ..
2016.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