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도귤빛부전나비(6)
-
시가도귤빛부전나비
https://blog.naver.com/jeny_24/223471230097 시가도귤빛부전나비 - 2024년 나비해마다 6월 즈음이 되면 자그마한 귤빛부전나비를 시작으로 개인적으로 애정하는 부전나비류들이 앞다투어 ...blog.naver.com 사진을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2024.06.07 -
넓은띠녹색부전나비, 북방녹색부전나비 외 임도에서 만난 나비들~
녹색부전나비류 이름표 붙여주는 건 조류사진 찍는 분들 도요새나 갈매기 이름 붙여주는 것만큼이나 어렵고 오동정이 많은 듯.... 그래서 아는 조류사진가는 도요새나 갈매기는 어지간하면 찍지 않는다 할 정도다. ㅎㅎ 임도를 걸으며 만나는 녹색부전나비류들은 앞에서 모델이 되어주니 찍긴 찍었어도 대략적인 나비들만 이름을 알 수 있을 뿐....이다. 혹 오동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2023년 6월) 북방녹색부전나비 밤새 풀잎에 앉아있던 산녹색부전나비 수컷. 해가 뜨면서 푸른 날개를 펼치고 있다가 나에게 들켰다 ㅎㅎ 아무리 동정해 봐도 산녹색부전나비 암컷이 아닐까... 싶은 나비 넓은띠녹색부전나비 북방녹색부전나비 암컷 깊은산녹색부전나비 암컷 귤빛부전나비 올해도 숲 속 이곳저곳에서 반짝 주황색 작은 신호등이 켜진다...
2023.07.01 -
시가도귤빛부전나비 2
지난번 만난 시가도귤빛부전나비는 한쪽 꼬리의 흰점이 살짝 떨어져나간 아쉬운 모습의 나비. 혹시나 하고 다시 찾아가 만난 나비는 꼬리 두개가 모두 살아있는 깨끗하고 예쁜 나비. 어느분은 그랬더랬다. 같이 익어가면서 늙었다고 괄시하지말라고..ㅎㅎ 그래도 이왕이면 상태가 깨끗한 나비에게 더 눈길이 가는건 아마도 나비애호가들이라면 누구도 어쩔수가 없었을것이다. 2022년 시가도귤빛부전나비 시가도귤빛부전나비 부전나비과(Lycaenidae) 녹색부전나비아과(Theclinae) 충청도의 일부 지역과 경기도, 강원도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6~7월 연 1회 발생하는 나비. 지난해 아쉽게도 그 모습을 보지 못했던 시가도귤빛부 blog.daum.net
2022.07.05 -
시가도귤빛부전나비
부전나비과(Lycaenidae) 녹색부전나비아과(Theclinae) 충청도의 일부 지역과 경기도, 강원도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6~7월 연 1회 발생하는 나비. 지난해 아쉽게도 그 모습을 보지 못했던 시가도귤빛부전나비. 올해는 운좋게도 얌전한 개체를 만나 마음껏 담아보았다.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보면 시가도귤빛부전 - 일본명(日本名)은 裏波赤小灰蝶이라고하나 시이문(翅裏紋)이 파상(波狀)이라는 것 보다 지도상(地圖上)에 그려지는 시가도(市街도圖)모양이니 시가도귤빛부전이라고 명명(命名)키로한다. 시이전면(翅裏全面)에 사각흑점(四角黑點)이 규칙적(規則的)으로 배열(排列)된 모양(模樣)은 뉴욕이나 시카고의 것같이 바둑판모양은 아니고 우리 서울..
2022.06.14 -
시가도귤빛부전나비
시가도(市街圖)귤빛부전나비 이름이 독특하고 무늬 또한 독특한 이 나비는 나비날개의 무늬가 서울 시가지 지도모습과 같이 생겼다 하여 우리나라 곤충학자 석주명박사가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언어학자이자 나비학자인 석주명박사의 나비연구 덕분에 나비들이 우리나라 이름을 갖게 된것이라고 합니다. 이른아침 경기도의 산자락에서 카메라에 잡힌 두마리의 시가도귤빛부전나비 중 한마리. 워낙 예민하기도 할뿐더러 한번 날아오르면 높은 나무위로 올라가버려 사진으로 담기가 조금은 난감한 나비중 하나입니다. 아직은 발생시기가 이른지 예년에 비해 그 개체수가 많이 보이지않아 아쉬움만 남기고 훌쩍 날아오른 나비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지적으로 볼수 있는 나비로 이른아침에 나뭇잎위에서 쉬고 있는 모습을 찍지않으면 한낮에는 사진으로 담..
2020.06.14 -
푸른 날개빛이 신비로운 산녹색부전나비와 날개무늬가 독특한 시가도귤빛부전나비
전날 내린 비가 풀잎에서 마르기도 전 이른 아침 경기도의 산을 찾았습니다. 늘 그렇듯 풀잎을 헤치고 발이 젖어가면서 찾은, 그곳에서 만난 색이 고운 나비들의 사진입니다. 날개의 푸른빛이 신비로운 산녹색부전나비. 제주도, 강원도, 경기도 지역에 분포하는 나비로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연 1회 발생하는 나비입니다. 수컷의 날개 윗면은 청록색이나 암컷은 흑갈색이며 이날 만난 나비는 윗날개색으로 보니 수컷이었네요. 날개를 접고 있을때는 그저 여느 나비처럼 평범하기 이를데없지만 나비의 날개를 펴는 순간 푸른색의 부드러운 벨벳을 펼쳐놓은듯 그 푸른빛에 흠뻑 빠질만큼 아름다운 나비였습니다. 이른 시간에 만난 나비임에도 불구하고 활발하게 점유행동을 하느라고 빠르게 날아다니느라 그 꽁무니를 따라다니는것도 여간 힘든게 아니..
2018.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