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눈이지옥사촌나비(4)
-
외눈이지옥나비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선생의 "조선나비이름의 유래기" 에 지옥나비 -Erebia의 속명(屬名)인데 이 래틴명(名)의 뜻에서 온 이름이다. 여기 속(屬)하는 나비는 대개(大槪)는 고산접(高山蝶)이고 고산초본대(高山草本帶)에서 무수(無數)히 날고 있는 습성(習性)을 볼때는 일본명(日本名)의 홍일음(紅日蔭)은 부적당(不適當)한 이름이다. 지옥가는 것처럼 고생을 하면서 고산(高山)에 올라 초본대(草本帶)에 도달(到達)하야 이 나비들을 보면 지옥나비란 이름이 역시 적당(適當)하다. 라고 쓰여있습니다. 오래전에는 이 나비를 만나기 위해 지옥 가는 것처럼 고생하며 높은 산을 올라야 겨우 볼 수 있는 나비라 하여 무시무시한 지옥나비라는 이름을 붙여준, 생김새도 검은빛에 나비처럼 보이지도 않는, 이름조차도 암울하기만 ..
2023.05.23 -
도시처녀나비, 외눈이지옥사촌나비, 참산뱀눈나비
우리나라 나비 종류 중 처녀라는 이름이 들어간 나비는 총 3종으로 도시처녀나비, 시골처녀나비, 봄처녀나비가 있다. 우리나라 나비박사 석주명 선생이 나비 이름에 대해 저술한 책, "조선 나비 이름의 유래기"에 따르면 도시처녀나비 - 도시처녀는 색채가 농차색(濃茶色)이요 전후양시이면(前後兩翅裏面)에 있는 백대(白帶)가 도시처녀의 흰 리본을 징상한다. 라고 쓰여있다.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충청도 어느 산자락 무덤가에서 만난 도시처녀나비 해가 뜨고 햇살이 산자락에 퍼지자 여기저기서 공이 튀듯 날아다닌다. 도시처녀나비 사진 찍다가 이런 경우도 있다. 늘 나뭇잎 뒤로 숨거나 숲으로 들어가버리기 일쑤인데 바로 눈앞에서 마른 가지를 잡고 앉았다. 오호라~ 하지만 순간 셔터스피드가 나오지 않아 당황. ..
2022.05.28 -
외눈이지옥사촌나비
우리나라 나비박사인 석주명 박사는 외눈이사촌나비에 대하여 외눈이지옥나비와 거의 같은 종류로 뒷날개이면(後翅裏面) 중실단(中室端)에 명연한 백반(白斑)이 있는 것으로 구별된다, 양종의 분포지를 보면 북조선에 편재(偏在)하지만 이 종류는 일층남방(一層南方)에 진출하였고 흔하지는 않지만 전반도에 산한다. 라고 쓰여있다. 네발나비과의 외눈이지옥사촌나비는 도서 지방을 제외한 지리산 이북 지역에 분포하는 나비이다. 사진을 클릭하면 나비가 커집니다. 이른 새벽 해발 1500여 미터의 높은 산자락을 오르며 아직 잠들어 있었던 외눈이지옥사촌나비를 만나다. 해가 뜨고 나면 여기저기를 날아다니며 흡밀 하는 장면만 보게 될 거라며 조금 부지런을 떨면 얌전한 모습의 외눈이지옥사촌나비를 볼 수 있을 거란 얘기에 강원도 고산의 임..
2021.06.19 -
외눈이지옥나비
오래전 우리나라 나비박사인 석주명은 외눈이지옥나비를 만나기 위해 꽤 많은 노력과 힘듦을 겪었나 보다. 지옥나비 종류들이 전부 높은 산에서 사는 고산형 나비다 보니 만나러 가는 과정이 지옥 같아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는 이야기도 있기도 한걸 보면.ㄹ 운이 좋았던 건지 우연한 기회에 볼 수 있었던 외눈이지옥나비. 외눈이지옥사촌나비보다는 그 개체를 만나기가 쉽지 않다고 하니 이날 몇 가지 귀한 나비를 몇 종류를 만난 나름 기억될 날이다. (2021. 06. 강원) 사진을 클릭하면 나비가 커집니다. 조선나비이름의 유래기에는 외눈이지옥나비 (Erebia cyclopius) "학명에서 유래된 이름인데 종명에 포함된 Cyclops는 희랍신화에 나오는 독안거인(獨眼巨人)이다. 심산(深山)에서 이 나비가 날고 있는 것을..
2021.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