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미(6)
-
철원의 두루미, 재두루미
해마다 겨울이 되면 꼭 한번은 보고 와야하는 귀한 손님.올해는 시기가 조금 이른편이었던지생각보다 많은 개체가 보이지않았지만그중 제일 만나보고싶었던 재두루미와 두루미(단정학)을예전보다 훨씬 가까운 곳에서비교적 편안하게 마주할 수 있었다.두루미탐조대를 이용하지않고자유롭게 다니며 들판의 새들을 보는 것을 선호하다보니새를 발견해도 멀리 있거나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면 아예 마음을 접고그저 편하게 너른 들판을 다니며 작은 산새들도 보고편하게 다니는 탐조패턴.그러다 우연히 어느 한적한 도로에 접어들었는데도로 바로 옆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재두루미 발견. 하늘은 구름이 많아서걱정했던 겨울철 아지랑이는 없겠다 싶었지만미세먼지가 있는건지...사진을 찍어봐도핀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으니 내 손을 탓해야하나...ㅎ ..
2024.12.25 -
두루미 Red-crowned Crane
보기만 해도 가슴 설레는 그런 새 멀리서 그 존재만으로도 심쿵 하는 새 두루미입니다. 눈이 소복이 내린 날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그 모습을 보고 난 후 며칠이 지나 다시 찾게 된 곳. 여전히 그들의 공간에서 평화로운 모습으로 먹이활동을 하는 모습을 지켜보게 되었습니다. 두루미는 하루에 곡식 낱알 6000개를 먹어야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꽤나 예민하고 조심스러운 새이며 그 무엇엔가 쫓기거나 어떠한 이유로 한 번 날면 낱알 300개를 다시 보충해야 하는 새라고도 합니다. 겨울에 낱알을 찾아 먹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니 몇 번 날게 되면 체온 유지가 힘이 들어지고 그래서 자주 날게 되면 생명유지에 어려운 상황에 몰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새를 보기 위해서는 많은 분들이 그러하듯이 저 또한 정해진 ..
2023.01.24 -
두루미(단정학).Red-crowned Crane
눈이 내렸다. 온 세상이 설국으로 변해버린 그곳. 햇살이 퍼지기 전 보이는 풍경. 얼마 후 사라질 모습이기에 바라보는 시선이 급해진다. 멸종위기 1급, 천연기념물 제202호 두루미를 만나다. 늘 멀리서만 보이던 두루미가 사람들이 다니는 트레킹 코스임에도 운좋게 비교적 가까운 거리를 허락해 준다. 여전히 눈부신 설국이지만 이른 오전임에도 몽글몽글 아지랑이가 피어오른다. 그래... 사진보다 눈으로 만나는 두루미를 감사히 보는 것으로 만족하련다. 두루미 가족이 함께 모여있는 모습을 발견. 조금 먼 곳이지만 한가족이 모여 있는 모습을 보는 건 그리 쉽게 볼 수 있는 장면이 아니라 숨죽이며, 한껏 낮춘 걸음으로 트레킹길의 목책 난간에 조금씩 다가선다. 한동안 먹이활동을 하더니 뭔가 불안함을 느꼈을까... 두루미들..
2023.01.11 -
철원의 귀한 손님, 두루미와 재두루미
2022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해마다 겨울이면 철원평야로 날아드는 두루미와 재두루미. 철원 철새도래지 촬영소에서는 1인 15,000원을 지불하면 철원 지역상품권으로 다시 1만원을 돌려주는 형태로 시간 구애 없이 비교적 편하게 두루미들을 촬영할 수 있다. 하지만 몇 해 그곳에서 사진을 찍어보았으니 오늘은 길을 따라 비교적 도로에서 가까운 곳의 두루미들을 관찰하듯 보기로 했다. 이번 철원 탐조에서는 보다 관심을 두고 있는 두루미, 즉 단정학을 중점적으로 관찰해보기로 했다. 재두루미에 비해 워낙 예민해서 백여 미터 남짓 떨어진 곳에서도 사방을 경계하며 자칫 사람들의 작은 몸짓에도 반응하기에 차 안에서만 그들을 지켜보며 여건이 허락되는 한에서 사진으로 담기로 한다.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2022.01.01 -
아름다운 단정학(두루미)
학창시절 해마다 새해가 되면 신년카드를 보내던 기억. 그 기억속 카드에는 학이 그려져있었고, 세월이 지나고보니 그 카드에 그려진 그림의 주인공이 단정학, 두루미었네요. 모든 사진은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설날이후 두번을 찾아가게 된 철원. 철새탐조대에서 찍어본 단아..
2020.02.05 -
철원에서 천연기념물인 재두루미와 단정학을 만나고 왔습니다.
올해 1월 초 철원여행길에 만났던 재두루미를 다시 보고 싶어 새벽부터 철원으로 향했습니다. 지난 사진의 건물들을 잘 살펴 재두루미를 봤던 곳이 어느 지역인지 가늠한 후 도착해보니 올해도 반가운 재두루미가 넓은 논 위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있더군요. 늘 그렇듯 새를 찍기엔 부족..
2018.12.13